728x90

맨 왼쪽부터 동그라미에 빨간색 x표시 뜬다. 컴파일시 에러난다는 의미이며,
위에를 클릭해보면 스샷처럼 오른쪽에 툴팁으로 어떤 에러가 떴는지 나오며
흰색 배너에 해결책이 제시되고, 그 오른쪽에 노란 배너에 해당 선택지들이 실제로 어떻게 코드가 바뀌는지
미리보여주기가 뜬다
int에 쳐진 위쪽 동그라미 안에 보면 옆은 빨간색으로 밑줄이 쳐져 있는데 이 또한 에러발생을 알려주는 표시이다
다만 주석해서 왼쪽에 x표시가 안뜬 것은 컴파일시에 문제가 없기 때문.


에러는 개발자에게 항상 맞닥드리는 부분이니 개발자가 되기 위해 공부를 막 시작했다면 꼭꼭 숙지해주자!!


728x90
반응형
728x90

 

스위칭 하듯이 바뀌면 좋겠지만 일련의 절차를 거쳐 a,b 값이 바껴야한다

a,b값을 서로 교환할려면 일단 한쪽 값이 한쪽에 들어가야하는데 그럼 한쪽 값이 지워지니

지워지기 전에 임시 변수에 넣어두기로 하자

 

x,y,z 변수를 각각 생성하고 x값에 y값을 넣어서 x값이 지워지기 전에

z변수에다가 x값을 넣어서 저장하고 넣으면 된다

 

위의 결과처럼 x=1,y=2 였지만

x=2, y=1로 잘 교환이 됨

 

근데 문자열+정수는 a5가 나와야하는데 102가 나왔네...? 뭐지

변수값이나 변수명 등 바꿔봤는데 100넘는 값이 어디서 오는 것인가...

자바는 일단 한번 선언된 변수는 계속 유효하다고 들었는데 이것 때문인지 뭔지

피곤하니 일단 자고 내일 다시 해보는걸루

728x90
반응형
728x90

몸 상태가 좀 많이 별로여서 웅동 쉬려고 했는데
막상 강의 보면서 머리 식힐 때 찌뿌둥하니
그냥 가볍게

살짝 홈트 했다


728x90
반응형

'small steps > 운동 - 체력이 국력'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01.03 운동기록 & 유레카  (0) 2022.01.04
21.01.01 운동기록  (0) 2022.01.02
21.12.30 운동기록  (0) 2021.12.31
21.12.29 운동기록 & 인바디  (0) 2021.12.29
21.12.28 운동기록  (0) 2021.12.28
728x90

 

 

https://git-scm.com/

 

Git

 

git-scm.com

https://github.com/

 

GitHub: Where the world builds software

GitHub is where over 73 million developers shape the future of software, together. Contribute to the open source community, manage your Git repositories, review code like a pro, track bugs and feat...

github.com

 

위의 링크 타고 깃허브가서 가입하고 왼쪽 상단에 보면 repositories(저장소)와 new라는 글자가 보일 것이다

누르고 하나 만들어주자

아래처럼 원하는 이름으로 repository의 네이밍을 해주고, public 체크 그대로 두고 맨 아래  create repository 클릭

 

 

블라블라 샬라샬라 외계어가 나오는데 빨간줄 친 곳만 좀 눈이 익숙해지자

앞으로 많이 쓰게될 명령어이다.

 


<Git 설치 & 초기화>

https://git-scm.com/downloads

다운받아 설치하고 git bash 실행

cmd 같은 창이 하나 뜬다

싸이트 로그인 하는 같은 과정을 먼저 해줘야한다

 

확인

$ git config user.name

$ git config user.email

 

설정

$ git config --global user.name "홍길동" ← " "안에 이름 적으시면 됩니다

$ git config --global user.email "abcd123@naevr.com" ← github에 가입한 이멜주소 입력

$ git config --list ← 입력 후 다른건 흘려버리고 위에 쓴 이름과 이멜주소가 잘 들어갔는지만 확인

$ git init ← 초기화

 

여기까지 초기 설정은

이후로는 이제 git과 github로 로컬에서한 작업들을 Git으로 관리하고 Github 업로드하거나 다운로드하여 협업, 피드백, 버젼관리 등등을 하게된다. 

 

 

아래의 세가지는 앞으로 git에서 많이 쓰일 핵심 명령어들이므로 기억해두자

commit : 로컬에 파일을 추가하거나 변경 내용을 저장

push : github 파일을 추가하거나 변경 내용을 저장

pull : github에서 파일을 다운로드

 


Github 사용하기

git add . 지정한 해당 디렉토리의 모든 파일 업데이트

git status 상태확인

git commit -m "히스토리명" 원하는 네이밍

git remote add origin 깃허브링크주소 깃헙 리파지토리와 로컬 소스코드와 연결

 - 회사에서 일할 때는 회사서비스 코드면 아주아주 조심할

 - 보통 신입이나 새로운 사람들 전용 공간 하나 따로 내줄 것임

git remote -v 연결이 잘됬는지 확인

git push origin master master라고 자리에 branch 이름을 넣으면 된다

 

 

Git hub 계속 업데이트 방법

git add . 지정한 해당 디렉토리의 모든 파일 업데이트

git commit -m "blah blah" 히스토리 생성. 블라블라에 원하는 네이밍.

git push origin master 깃허브로 올리기

 

 

Github에서 팀프로젝트 하는

1)소스코드 다운

git clone 링크주소 폴더이름 링크는 필수 폴더이름은 선택. 폴더이름을 지정할 경우 안에 모든 파일을 다운로드. 지정 안할 경우 프로젝트명으로 폴더가 생성되고 안에 코드들 다운됨

 

2) 브랜치(branch) 만들기

git checkout -b 브랜치이름

 

3) 브랜치에 소스코드 업데이트

git add.

git commit -m "히스토리명" 원하는 네이밍

git push origin 브랜치이름

 

4)마스터 브랜치에서 소스 가져오기

git pull origin master pull 하기 전에 반드시 기존 소스코드들을 commit

 

5)브랜치끼리 파일 이동하는

git checkout 브랜치이름 브랜치에서 마스터 브랜치나 다른 브랜치로 파일을 이동시키고  싶을 사용

 

(위의 테마별 내용은 유튜보 코딩알려주는누나님 영상 참고했습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상태가 안좋아서 운동량 많이 줄이고 가볍게 운동!!

728x90
반응형

'small steps > 운동 - 체력이 국력' 카테고리의 다른 글

21.01.01 운동기록  (0) 2022.01.02
21.12.31 운동기록  (0) 2022.01.01
21.12.29 운동기록 & 인바디  (0) 2021.12.29
21.12.28 운동기록  (0) 2021.12.28
21.12.27 운동기록  (0) 2021.12.2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