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메소드(method)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에는 함수라는 것이 별도로 존재한다. 하지만 자바는 클래스를 떠나 존재하는 것은 있을 수 없기 때문에 자바의 함수는 따로 존재하지 않고 클래스 내에 존재한다.

자바는 이러한 클래스 내의 함수를 메소드라고 부른다.

※ 보통 함수와 메소드가 공존하는 언어(예:파이썬)에서는 두 개를 구분하여 말하기도 하지만 자바는 보통 메소드와 함수를 구분하여 말하지 않는다. 다만 자바에서 사용되는 함수의 정확한 명칭은 메소드

위 내용의 출처 : 점프투자바

 

역할

입력을 가지고 어떤 일을 수행한 다음에 결과물을 내어놓는 것, 이것이 메소드가 하는 일

 

구조

입력값 -> 메소드 -> 리턴값

메소드는 들어온 입력값을 가지고 어떤 처리를 하여 적절한 리턴값을 돌려주는 블랙박스와 같다.

기능부분에 생성자도 있지만 메소드도 있다

 

 

메인메소드( main method)

메인메소드는 모든 형태를 다 가지고 있다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접근제한자] [예약어] 반환타입 메소드명(매개변수) {

  - 생략가능 : 접근제한자 예약어 매개변수

 

  1. 접근 제한자
  2. 예약어
  3. 반환타입
  4. 매개변수
  5. 표현식 종류 4가지

 

접근제한자 : public private protected default

예약어 : static final 등

반환타입 :

     A. void : 반환할 게 없음. 반환값이 없다고해서 안쓰면 생성자처럼 됨. 필히 쓸 것

     B.기본자료형을 반환하는 메소드

           ex) Integer.parseInt, chataAt(), Math.random(), String.equals(),String.length() 등등

C.배열을 반환 : Arrays.copyOf()

D.클래스를 반환 : Scanner.nextLine() .nextInt 등등

메소드명

매개변수

 


1) 접근 제한자

 

2) 예약어

 

3) 메소드 반환형

 

4)메소드 매개변수

1.() : 매개변수 없음 = 전달할 값이 없음

2.기본자료형

3.배열 : 얇은 복사(주소값)

4.클래스

5.가변인자 : 매개변수의 개수가 정해지지 않은 유동적 설정

      ex)printf() - 공식API문서 printstream 확인가능

자료형... 변수명 // ...은 가변의미를 나타냄

 

※ 매개변수와 인수

public class Sample {
    int sum(**int a, int b**) {  // a, b 는 **매개변수**
        return a+b;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ample sample = new Sample();
        int c = sample.sum(**3, 4**);  // 3, 4는 **인수**

        System.out.println(c);  // 7 출력
    }
}

 

5) 표현식 종류 4가지

1)반환타입 o 매개변수 o 메소드

2)반환타입 o 매개변수 x 메소드

3)반환타입 x 매개변수 o 메소드

4)반환타입 x 매개변수 x 메소드

 

 


 

메소드와 생성자 구분법

구분기준 : 반환 여부

public Book() {

} // 반환타입이 없으므로 생성자

반환타입 o : 메소드

반환타입 x : 생성자

728x90
반응형
728x90

 

해당 클래스의 상속관계를 알아야할 때

어떤 상속관계인지 몰라 공식API문서 찾기 어려울 때나

알더라도 여러 카테고리 거쳐 찾는 번거로움을 느낀다면?

해당 메소드가 반환을 어떻게 하는지 궁금하다면?

 

이클립스에서 알고자하는 코드에 마우스 포인터를 올리면 뜨는 노란 툴팁보면

아래로 내려가면

Overrides : 상속관계를 알려주는 부분

returns : 반환타입을 알려주는 부분

가 있다

Overrides : toString() 메소드가 최상위 클래스인 Object를 상속했다는 의미이다. 즉, 부노는 Object 자식은 toString()

returns : 객체의 대표값 문자열로 반환한다는 의미이다.

어떤건 int정수로 어떤건 boolean으로 true/false로 반환하니 잘체크하면 많은 도움이 된다

 

 

728x90
반응형
728x90

이클립스에 뜨는 많은 영어와 문자들

그냥 지나치기 쉬웠을텐데 알아두면 유용한 팁이다

API문서에서 하나하나 찾을 번거로움을 덜고 코딩 중에 바로바로 이클립스에서 타입 확인하는 방법이다

 

 

해당 코드에 마우스 포인터를 올려두면 뜨는 노란툴팁에서

볼드되어 뜨는 가장 첫줄에 반환타입과 제네릭설정 되어있다면 제네릭이 뭘로 제한되어있는지도 알려주고 

해당 메소드나 클래스의 상속관계,경로 등을 알려주니 필히 체크하자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