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컬렉션 List의 메소드 중에서 매개변수에 넣는 것 파악하고

반환타입도 파악하면서

해당 반환 타입으로 뭘 할 수 있을지 고민하다가

int타입으로 반환되는 indexOf()를 if문과 연결지어 간단한 출력문구 사용

boolean으로 반환되는 isEmpty()나 remove() 등도 if문 조건으로 사용해봄

이외에도 get이나 다른 str이나 다른 타입 반환을 이용해서 ==이나 equals() 같은 걸 이용해서 값 비교해서

찾는 조건 같은걸로 while, for문 같은 것도 사용해봐야겠다

 

/******************************** collection 3rd practice ***************************************/	
public void method03() {
    // 3번째 연습할거는 오버라이딩 해제하면서, equals()와 hashCode() 비교
    ArrayList a = new ArrayList(2); // 제네릭 안써서 노란줄 경고
    ArrayList<Student> al = new ArrayList<Student>(2);
    ArrayList<Student> list = new ArrayList<>(1);

    // vo클래스에 있는 오버라이딩된 toStirng(), equals(), hashCoding() 
    // 전부 주석처리


    // add(E e):boolean
    al.add(new Student("ㄱ",100));
    al.add(new Student("ㄴ",90));
    System.out.println(al);			// [ㄱ(100점), ㄴ(90점)]
    // Object의 toString()를 오버라이딩 때문에 주소값이 아닌 객체값이 바로나옴
    // toString() 오버라이딩 안된 경우(오버라이딩 주석처리) 결과값 : [chap12_Collection.A_List.model.vo.Student@6d06d69c, chap12_Collection.A_List.model.vo.Student@7852e922]
    al.add(2, new Student("ㄷ",95));	
    System.out.println(al);	// [chap12_Collection.A_List.model.vo.Student@6d06d69c, chap12_Collection.A_List.model.vo.Student@7852e922, chap12_Collection.A_List.model.vo.Student@4e25154f]
    System.out.println(al); // toString오버라이딩 후 : [ㄱ(100점), ㄴ(90점), ㄷ(95점)]

    // add(int index, E element) 
    list.add(0, new Student("ㄱㄱ",100));
    System.out.println(list);	// [ㄱㄱ(100점)]
    list.add(1, new Student("ㄴㄴ",90));
    list.add(2, new Student("ㄷㄷ",85));
    System.out.println(list);// [ㄱㄱ(100점), ㄴㄴ(90점), ㄷㄷ(85점)]


    // addAll(Collection<? extends E> c) : boolean
    al.addAll(al);
    System.out.println(al);// [ㄱ(100점), ㄴ(90점), ㄷ(95점), ㄱ(100점), ㄴ(90점), ㄷ(95점)]

    // addAll(int index, Collection c) : boolean
    al.addAll(1,al);
    System.out.println(al); // [ㄱ(100점), ㄱ(100점), ㄴ(90점), ㄷ(95점), ㄱ(100점), ㄴ(90점), ㄷ(95점), ㄴ(90점), ㄷ(95점), ㄱ(100점), ㄴ(90점), ㄷ(95점)]
    // toString() 오버라이딩 주석 후 : [chap12_Collection.A_List.model.vo.Student@6d06d69c, chap12_Collection.A_List.model.vo.Student@6d06d69c, chap12_Collection.A_List.model.vo.Student@7852e922, chap12_Collection.A_List.model.vo.Student@4e25154f, chap12_Collection.A_List.model.vo.Student@6d06d69c, chap12_Collection.A_List.model.vo.Student@7852e922, chap12_Collection.A_List.model.vo.Student@4e25154f, chap12_Collection.A_List.model.vo.Student@7852e922, chap12_Collection.A_List.model.vo.Student@4e25154f, chap12_Collection.A_List.model.vo.Student@6d06d69c, chap12_Collection.A_List.model.vo.Student@7852e922, chap12_Collection.A_List.model.vo.Student@4e25154f]



    // 장점1. 크기 제약 x
    // .size() : 인덱스 길이 반환
    System.out.println(al.size()); // 12


    // 장점2. 추가/삭제/정렬 기능처리 간단



    // 삭제
    // remove(int index):E
//		// remove()의 return은 삭제한 값을 돌려준다
//		list.remove(7);
    list.remove(2);
    System.out.println("remove(int index) : "+list); // [ㄱㄱ(100점), ㄴㄴ(90점)]
    System.out.println(list.remove(1)); // ㄴㄴ(90점) <- 대괄호 없고, 지운 객체 반환(pop개념) 
    System.out.println(list); // [ㄱㄱ(100점)]

    Student delList = al.remove(11);
    System.out.println("delList : "+delList);	// delList : ㄷ(95점)
    System.out.println(al);			// [ㄱ(100점), ㄱ(100점), ㄴ(90점), ㄷ(95점), ㄱ(100점), ㄴ(90점), ㄷ(95점), ㄴ(90점), ㄷ(95점), ㄱ(100점), ㄴ(90점)]
    Student delList2 = al.remove(10);
    System.out.println(delList2);  // ㄴ(90점)
    System.out.println(al);			// [ㄱ(100점), ㄱ(100점), ㄴ(90점), ㄷ(95점), ㄱ(100점), ㄴ(90점), ㄷ(95점), ㄴ(90점), ㄷ(95점), ㄱ(100점)]



    // 삭제
    // remove(Object o):boolean
    // 같은 데이터라면 앞에 있는거부터 삭제
    al.remove(new Student("ㄷ",95));
    al.remove(new Student("ㄷ",95));
    System.out.println(al.remove(new Student("ㄷ",95))); // false
    System.out.println(al);			// [ㄱ(100점), ㄱ(100점), ㄴ(90점), ㄷ(95점), ㄱ(100점), ㄴ(90점), ㄷ(95점), ㄴ(90점), ㄷ(95점), ㄱ(100점), ㄴ(90점), ㄷ(95점)]
    // equals()가 오버라이딩이 안되어 있어서 값 비교가 아니라 주소값 비교라 삭제 못한 것.
    System.out.println(al.size());


    // 지네릭 추가 : <String> 
    // equals랑 hashCode가 잘 오버라이딩이 되어있기 때문에 삭제 가능
    ArrayList<String> sList = new ArrayList<>(2);

    sList.add(new String("a"));
    sList.add(1, new String("b"));
    System.out.println(sList);		// [a, b]
    // 제네릭<String> 같은 경우, toString()이 오버라이딩 안되어있거나 데이터 리턴이 없어도 객체값을 잘 내보내줌



    // set(int index, E e)
    // 해당 인덱스 번호에 값  교체
    sList.set(1, new String("changed Capital B"));
    System.out.println(sList);  // [a, changed Capital B]
    al.set(0, new Student("a",50));
    System.out.println(al);		// [a(50점), ㄱ(100점), ㄴ(90점), ㄷ(95점), ㄱ(100점), ㄴ(90점), ㄷ(95점), ㄴ(90점), ㄷ(95점), ㄱ(100점), ㄴ(90점), ㄷ(95점)]


    // get(int index):E
    // 인덱스번호의 엘리먼트 값을 가져온다
    sList.get(0);
    String str = sList.get(1);
    System.out.println(sList);	// [a, changed Capital B]
    System.out.println(str);	// changed Capital B


    // contains(Object) : boolean
    // indexObject : int 
    System.out.println(al.contains(new Student("a",50))); // false


    // int값 데이터 반환된 걸 if문에 적용
    if(al.contains(new Student("ㄱ",100))){
        System.out.println("포함 & 출력");
    }else {
        System.out.println("미포함. 값이 맞다면 equals()오버라이딩 체크해보세여");
    }	// equals()가 오버라이딩 되어있다면 값을 비교하기 때문에 contains()가 작동하고, 
        // 아닐 경우 값이 같더라도 주소값이 비교되기 때문에 작동x
    al.indexOf(new Student("ㄴ",90));
    System.out.println(al.indexOf(new Student("ㄴ",90)));	// 2
    // 반환된 인덱스번호로 if조건문 줘서 실행하기
    if(al.indexOf(new Student("ㄴ",90)) > 0) {
        al.remove(6);
        System.out.println("indexOf의 번호가 0이상이면 객체값 하나 삭제함");	// indexOf의 번호가 0이상이면 객체값 하나 삭제함
    }else {
        System.out.println("조건 미충족. do nothing");
    }

    System.out.println(sList.get(0));	// a
//		if((sList.get(0)) == "a") {
    if((sList.get(0)).equals("a")) {
        System.out.println("true");	// true
    }else {
        System.out.println("false");
    }

    // 반환된 boolean타입으로 while조건 사용하기
    System.out.println("a : "+sList.contains("a")); // true
    int i = 0;
    while(sList.contains("a")) {
        System.out.print(i+" ");	// 0 1 2 3 4 5 6 7 8 9 
        i++;
        if(i>=10) {
            break;	// while문 무한루프 + break문 사용
        }
    }
//		while(true) {
//			System.out.println("====");
//			i++;
//			if(i>=10) {
//				break;
//			}
//		}

//		while(sList.contains("a")) {
//			if(i>=10) {
//				break;
//			}
//			i += 2;
//			System.out.print(i+ " ");
//		}


    // 지네릭<String>과 일반 참조객체<Student>의 오버라이딩 비교
    //  equals메소드와 해쉬코드가 오버라이딩 되지 않으면 주소값이 달라 없는걸로 나옴. 현재는 오버라이딩된 상태


    // clear():void
    al.clear();
    System.out.println(al);// []
    // isEmpty():boolean
    al.isEmpty();
    System.out.println(al.isEmpty()); // true

    if(al.isEmpty()) {
        al.add(new Student("new",10));
        System.out.println(al);  // [new(10점)]
    }

}
728x90
반응형
728x90

 

list 안에 각각의 빈도 높은 메소드들을 다 써보고

어떤 방식으로 작동하는지와 반환값도 어떻게 반환되는지 파악하고

리스트의 코드 형태도 익숙해지는 중!

 

get 같은 경우 어디에 써먹을지 고민하게보게 됨. 해당 값을 가져와서 여기저기 유용할 것 같은데 당장 생각이 잘안난다

 

/******************************** collection 2nd practice ***************************************/	
public void method02() {

    ArrayList<Student> list = new ArrayList<Student>(3);


    // add(E e):boolean
    list.add(new Student("김",99));
    list.add(new Student("이",98));
    list.add(new Student("최",100));
    list.add(new Student("박",95)); // 길이 자동 추가 : 길이4

    System.out.println(list); // [김(99점), 이(98점), 최(100점), 박(95점)] 길이 4
    // Object의 toString()를 오버라이딩 때문에 주소값이 아닌 객체값이 바로나옴
    System.out.println(list.add(new Student("황",94))); // true // boolean값 반환


    // 장점1. 크기 제약 x
    // .size() : 인덱스 길이 반환
    System.out.println(list.size()); // 5


    // 장점2. 추가/삭제/정렬 기능처리 간단
    // add(int index, E elemnet) 
    list.add(5,new Student("차",88)); // 5번 인덱스에 '차' 추가
    list.add(5,new Student("사",87)); // 5번 인덱스 '차'자리에 '사'가 들어가면서 '차'가 뒤로 밀림

    System.out.println(list); // [김(99점), 이(98점), 최(100점), 박(95점), 황(94점), 사(87점), 차(88점)]


    // 삭제
    // remove(int index):E
//		// remove()의 return은 삭제한 값을 돌려준다
//		list.remove(7);
    System.out.println("remove(int index):E = "+list.remove(6)); // remove(int index):E = 차(88점)
    System.out.println(list); // [김(99점), 이(98점), 최(100점), 박(95점), 황(94점), 사(87점)]


    // 삭제
    // remove(Object o):boolean
    list.remove(new Student("사",87));
    System.out.println(list); // [김(99점), 이(98점), 최(100점), 박(95점), 황(94점)]

    System.out.println(list.remove(new Student("황",94))); // true - 반환값 불리안 겟
    System.out.println(list); // [김(99점), 이(98점), 최(100점), 박(95점)]


    // 지네릭 추가 : <String> 
    ArrayList<String> listStr = new ArrayList<String>(2);
    listStr.add("임");
    listStr.add("강");
    listStr.add("심");
    System.out.println(listStr); // [임, 강, 심]
    System.out.println(listStr.remove(2)); // 심
    System.out.println(listStr); // [임, 강] -> print에 써도 잘지워진다
    listStr.remove(new String("강"));
    System.out.println(listStr); // [임]
    // equals랑 hashCode가 잘 오버라이딩이 되어있기 때문에 삭제 가능


    // set(int index, E e)
    // 해당 인덱스 번호에 값  교체
    list.set(3, new Student("박박",99));
    System.out.println(list); // [김(99점), 이(98점), 최(100점), 박박(99점)]
    System.out.println(list.set(2, new Student("최최",1000))); // 최(100점)
    System.out.println(list); // [김(99점), 이(98점), 최최(1000점), 박박(99점)]


    //get(int index):E
    // 인덱스번호의 엘리먼트 값을 가져온다
    Student stu = list.get(1);
    System.out.println(stu); 		 // 이(98점)
    System.out.println(list.get(0)); // 김(99점)



    // contains(Object) : boolean
    // indexObject : int 

    System.out.println(list.contains(new Student("김",99))); // true
    System.out.println(list.indexOf(new Student("김",99)));	// 0

    // 지네릭<String>과 일반 참조객체<Student>의 오버라이딩 비교
    System.out.println(listStr.contains(new String("임")));   // true
    System.out.println(listStr.indexOf(new String("임")));	 // 0
    System.out.println(listStr.indexOf(new String("임없음"))); // -1 : 없는 값이라 -1반환
    //  equals메소드와 해쉬코드가 오버라이딩 되지 않으면 주소값이 달라 없는걸로 나옴. 현재는 오버라이딩된 상태


    // clear():void
    list.clear();
    System.out.println(list); 			 // []
//		System.out.println(listStr.clear()); // clear는 반환타입이 없는 void라 print시켜서 java.lang.Error 
    listStr.clear();

    // isEmpty():boolean
    System.out.println(list.isEmpty());		// true
    System.out.println(listStr.isEmpty());	// true


}
728x90
반응형
728x90

 

 

remote 연결, 조회, 연결해제

 

remote 연결

원격저장소(remote) 연결하기

git remote add <name> <url>

ex)

git remote add origin [<https://github.com/neverGiveUpppppp/kh-workspace.git>](<https://github.com/neverGiveUpppppp/kh-workspace.git>)

 

 

remote 목록보기

연결된 원격저장소(remote) 목록보기

git remote -v 

 

현재 로컬에 연결된 remote 목록    

 

remote 삭제

해당 원격저장소(remote) 삭제

git remote remove 리모트명

 

728x90
반응형
728x90

 

지난 번 했던 

브랜치 생성

브랜치 변경

브랜치 생성 및 변경 한번에 하기

브랜치 삭제

add, commit, push 하기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