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list 안에 각각의 빈도 높은 메소드들을 다 써보고

어떤 방식으로 작동하는지와 반환값도 어떻게 반환되는지 파악하고

리스트의 코드 형태도 익숙해지는 중!

 

get 같은 경우 어디에 써먹을지 고민하게보게 됨. 해당 값을 가져와서 여기저기 유용할 것 같은데 당장 생각이 잘안난다

 

/******************************** collection 2nd practice ***************************************/	
public void method02() {

    ArrayList<Student> list = new ArrayList<Student>(3);


    // add(E e):boolean
    list.add(new Student("김",99));
    list.add(new Student("이",98));
    list.add(new Student("최",100));
    list.add(new Student("박",95)); // 길이 자동 추가 : 길이4

    System.out.println(list); // [김(99점), 이(98점), 최(100점), 박(95점)] 길이 4
    // Object의 toString()를 오버라이딩 때문에 주소값이 아닌 객체값이 바로나옴
    System.out.println(list.add(new Student("황",94))); // true // boolean값 반환


    // 장점1. 크기 제약 x
    // .size() : 인덱스 길이 반환
    System.out.println(list.size()); // 5


    // 장점2. 추가/삭제/정렬 기능처리 간단
    // add(int index, E elemnet) 
    list.add(5,new Student("차",88)); // 5번 인덱스에 '차' 추가
    list.add(5,new Student("사",87)); // 5번 인덱스 '차'자리에 '사'가 들어가면서 '차'가 뒤로 밀림

    System.out.println(list); // [김(99점), 이(98점), 최(100점), 박(95점), 황(94점), 사(87점), 차(88점)]


    // 삭제
    // remove(int index):E
//		// remove()의 return은 삭제한 값을 돌려준다
//		list.remove(7);
    System.out.println("remove(int index):E = "+list.remove(6)); // remove(int index):E = 차(88점)
    System.out.println(list); // [김(99점), 이(98점), 최(100점), 박(95점), 황(94점), 사(87점)]


    // 삭제
    // remove(Object o):boolean
    list.remove(new Student("사",87));
    System.out.println(list); // [김(99점), 이(98점), 최(100점), 박(95점), 황(94점)]

    System.out.println(list.remove(new Student("황",94))); // true - 반환값 불리안 겟
    System.out.println(list); // [김(99점), 이(98점), 최(100점), 박(95점)]


    // 지네릭 추가 : <String> 
    ArrayList<String> listStr = new ArrayList<String>(2);
    listStr.add("임");
    listStr.add("강");
    listStr.add("심");
    System.out.println(listStr); // [임, 강, 심]
    System.out.println(listStr.remove(2)); // 심
    System.out.println(listStr); // [임, 강] -> print에 써도 잘지워진다
    listStr.remove(new String("강"));
    System.out.println(listStr); // [임]
    // equals랑 hashCode가 잘 오버라이딩이 되어있기 때문에 삭제 가능


    // set(int index, E e)
    // 해당 인덱스 번호에 값  교체
    list.set(3, new Student("박박",99));
    System.out.println(list); // [김(99점), 이(98점), 최(100점), 박박(99점)]
    System.out.println(list.set(2, new Student("최최",1000))); // 최(100점)
    System.out.println(list); // [김(99점), 이(98점), 최최(1000점), 박박(99점)]


    //get(int index):E
    // 인덱스번호의 엘리먼트 값을 가져온다
    Student stu = list.get(1);
    System.out.println(stu); 		 // 이(98점)
    System.out.println(list.get(0)); // 김(99점)



    // contains(Object) : boolean
    // indexObject : int 

    System.out.println(list.contains(new Student("김",99))); // true
    System.out.println(list.indexOf(new Student("김",99)));	// 0

    // 지네릭<String>과 일반 참조객체<Student>의 오버라이딩 비교
    System.out.println(listStr.contains(new String("임")));   // true
    System.out.println(listStr.indexOf(new String("임")));	 // 0
    System.out.println(listStr.indexOf(new String("임없음"))); // -1 : 없는 값이라 -1반환
    //  equals메소드와 해쉬코드가 오버라이딩 되지 않으면 주소값이 달라 없는걸로 나옴. 현재는 오버라이딩된 상태


    // clear():void
    list.clear();
    System.out.println(list); 			 // []
//		System.out.println(listStr.clear()); // clear는 반환타입이 없는 void라 print시켜서 java.lang.Error 
    listStr.clear();

    // isEmpty():boolean
    System.out.println(list.isEmpty());		// true
    System.out.println(listStr.isEmpty());	// true


}
728x90
반응형
728x90

이클립스에 뜨는 많은 영어와 문자들

그냥 지나치기 쉬웠을텐데 알아두면 유용한 팁이다

API문서에서 하나하나 찾을 번거로움을 덜고 코딩 중에 바로바로 이클립스에서 타입 확인하는 방법이다

 

 

해당 코드에 마우스 포인터를 올려두면 뜨는 노란툴팁에서

볼드되어 뜨는 가장 첫줄에 반환타입과 제네릭설정 되어있다면 제네릭이 뭘로 제한되어있는지도 알려주고 

해당 메소드나 클래스의 상속관계,경로 등을 알려주니 필히 체크하자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