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12p 14번

속성(Attribute)

업무에서 필요로 하는 인스턴스에서 관리하고자 하는 최소의 데이터 단위

(더 이상 분리되지 않는 최소의 단위)

 


 

11p 10번

 

엔티티(Entity)란

업무에 필요하고 유용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집합적인 것(Thing)

또는,

엔티티는 업무 활동상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고 있어야 하는 대상으로서 그 대상들 간에 동질성을 지닌 인스턴스들이나 그들이 행하는 행위의 집합

 

엔티티 특징

엔티티는 그 집합에 속하는 개체들의 특성을 설명할 수 있는 속성(Attribute)을 갖는다

ex) ‘학생’이라는 엔터티는 학번, 이름, 이수학점, 등록일자, 생일, 주소, 전화번호, 전공 등의 속성을 갖을 수 있다

 

 

엔티티 속성의 종류

1)공통 속성

 엔티티 인스턴스 전체가 공유할 수 있는 공통 속성

2)개별 속성

엔티티 인스턴스 중 일부에만 해당하는 개별 속성

 

엔티티 속성들을 엔티티 인스턴스 전체가 공유할 수 있는 공통 속성과 엔티티 인스턴스 중 일부에만 해당하는 개별 속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엔티티는 인스턴스의 집합이라고 할 수 있다.

 

 

엔티티의 인스턴스

정의 : 엔티티의 하나의 값

ex)예를 들어 과목은 수학, 영어, 국어가 존재할 수 있는데 수학, 영어, 국어는 각각이 과목이라는 엔티티의 인스턴스들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사건이라는 엔티티에는 사건번호2010-001, 2010-002 등의 사건이 인스턴스가 될 수 있다.

엔터티를 이해할 때 눈에 보이는(Tangible)한 것만 엔터티로 생각해서는 안되며 눈에 보이지 않는 개념 등에 대해서도 엔터티로서 인식을 할 수 있어야 한다. 

 


 

10p 6번

스키마란?

DB 구조와 제약조건에 관한 전반적인 분명하고 자세한 내용을 기술한 것

상세하게 말하면,

개체의 특성을 나타내는 속성(Attribute)과 속성들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개체(Entity),

개체 사이에 존재하는 관계(Relation)에 대한 정의와 이들이 유지해야 할 제약조건들을 기술한 것

외부 스키마 : 개개 사용자가 보는 개인적 DB 스키마 개념 스키마 : 모든 사용자 관점을 통합한 전체 DB 내부 스키마 : 물리적 장치에서 데이터가 실제적 저장

 


 

8p 3번

매핑(Mapping)

매핑의 대표적 사례로는 하기 항목과 같은 것들이 있다.프로그래밍 영역에서 매핑은 키(key) 역할을 하는 데이터와 값(value) 역할을 하는 데이터를 짝 지어(=연결 지어) 저장하는 데이터 구조를 말한다. 키는 저장된 데이터

728x90
반응형
728x90

 

404는 정말 여러 원인이 있는데

대개 페이지이동 경로나 url 매핑 쪽 문제가 많다

 

메세지

HTTP 404 Origin 서버가 대상 리소스를 위한 현재의 representation을 찾지 못했거나, 그것이 존재하는지를 밝히려 하지 않습니다.

상황

페이징처리 코드 넣고 첫페이지는 잘 뜨는데 다른 번호 누르면 위의 에러메세지 뜸

원인

코드 따오는 과정에서 아래 이미지처럼 이동해야할 URL을 변경하지 않아 발생

해결

blist.bo를 컨트롤러에 등록한 url인 notice.bo(첫번째 이미지)로 교체

 

 

 

 

728x90
반응형
728x90

 

Servlet Mapping 방법 2가지

서블릿 매핑 : 서블릿하고 url를 연결

*매핑(mapping) : 하나의 값을 다른 값으로 대응시키는 것

1) web.xml

배포서술자(DD, Deployment Descriptor)

배포서술자의 파일로 web.xml를 사용하는 것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전체 설정 정보를 담아두는 파일

여기서 설정이란 인코딩,보안,매핑 설정 등등을 듯함

<welcome-file>

시작 시 실행시키는 파일들을 명명하는 곳

web.xml파일이 실행되면 index.html 파일을 바로 실행하게함

<servlet>

url들어온 이름보고 같은게 있는지 확인하고 거기에 있는 클래스를 실행(<servlet-class>)

<servlet-mapping>

매핑이 url 뭐가 들어왔는지 확인

<url-pattern>

url 주소를 받아오는 곳

<servlet-class>

연결되면 어느 서블릿 클래스를 불러올지 지정하는 곳

 

web.xml 동작 순서

  1. 인터넷 주소창에서 url을 받아옴
  2. <url-pattern>태그에서 해당 url을 받아 저장
  3. <servlet>과 <servlet-mapping>의 <serlvet-name>태그 정보가 같은지 확인
  4. 같다면 <servlet>의 <servlet-class>에 지정된 자바 클래스 파일 실행

 

2) @Annotation

자바에서 Override할 때 사용. 명시로 알려주고, 관련 에러도 잡아줬었음

 


 

Servlet Container

웹서버와 서블릿 사이의 통신을 지원

서블릿 생명주기(life cycle)를 관리

새로운 요청이 들어올 때마다 자바 스레드를 생성해서, 사용자의 요청을 처리

선언적인 방법으로 보안관련 내용을 설정할 수 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