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문제

 

<풀이과정>

 

 

728x90
반응형
728x90

문제

 

 

<풀이과정>

 

 

728x90
반응형
728x90

문제

 

 

답 원하시는 분은 맨 아래로!

<풀이과정>

 

 

 

728x90
반응형
728x90

문제

 

 

 

 

<풀이과정>

※조건 연산자(=삼항연산자)

if else문을 한줄로 간결하게 하는 코드
 - 대부분의 언어에서 삼항연산자 지원
 

1.형태

true_value if condition else false_value

 

2. 삼항연산자와 if문의 비교

1)삼항연산자
value = true_value if condition else false_value

2)if-else 조건식
if condition:
    value = treue_value
else:
    value = false_value
 
   

3.예제

삼항연산자
a = 1
value = '수상' if a == 1 else '미수상'
결과값 : 수상

if-else 조건식
a = 1
 if a == 1:
     value = '수상'
 else:
    value = '비수상'
결과값 : 수상


4.이중 삼항연산자

중첩된 삼항연산자 식. 삼항연산자가 if아니면 else 두가지 길이었다면,
이중 삼항연산자는 세가지 네가지 길도 가능하다. 다만, 코드 복잡해지므로 길게는 비추

ex)
aa = 2
value = '양수' if aa==1 else '정수' if aa == 0 else '음수'
결과값 : 음수

 

 

 

 

 

 

728x90
반응형
728x90

문제

 

<풀이과정>

 

 

728x90
반응형
728x90

문제

 

 

<풀이과정>

 

 

 

728x90
반응형
728x90

019. if __name__ == __main__ 이해

 

출처 : 철린님 블로그

 

점프투 파이썬만으로는 잘 이해가 안되서 자료를 뒤져보다가 이분 글이 가장 이해가 잘되어 가져왔다.

 

if __name__ == __main__ 의미 :

인터프리터에서 직접 실행한 경우에만 if문을 실행시키라는 뜻

import된 경우는 x

모듈을 실행하는 방법은 두가지인데, 인터프리터에서 직접 실행하거나 다른 모듈에 임포트해서 실행하던가이다.

즉, 이 둘중에 후자에서만 발동하도록 지정해주는 것이다

 

if __name__ == __main__ 이 필요한 이유 :

 어떤 py파일의 함수만 쓸려할 때 겹쳐서 다른걸 가져오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다. 

mod1.py 파일의 add와 sub 함수를 사용하기 위해 mod1 모듈을 import할 때, 엉뚱하게도 import mod1을 수행하는 순간 mod1.py가 실행이 되어 결괏값을 출력한다. 우리는 단지 mod1.py 파일의 add와 sub 함수만 사용하려고 했는데 말이다

by 점프투파이썬의 설명

 

__name__이란?

 인터프리터가 실행전에 만들어 둔 글로벌(전역) 변수

728x90
반응형
728x90

006. 조건문 - 조건부 표현식 if문 

 

 

 

 

조건부 표현식에서 if문을 연속으로 써보자

(조건부 표현식에서는 elif 사용불가)

 

x = 0
do_it = "양수" if x > 0 else "zero" if x == 0 else "음수"
print(do_it)

if문이 추가 된 것을 나누어 보자

# 위의 if문 두개가 연결 된 것을 쉽게 이해하기 위해 나눠보자

x = 0
do_it = "양수" if x > 0 else "zero or 음수"

#"zero" if x == 0 else "음수"
print(do_it)

이러면 결과값이 false이므로 zero or 음수로 나온다

728x90
반응형
728x90

004. 연산자 in (Membership Operators) 

 

 

 

전 review에서 변수값의 True를 사용한 것과 연산자 in을 사용한 코드

연산자 in은 tuple, list, str(문자열)만 사용가능!

in

not in

 

세부설명

if문의 True or False로 나누어지는 결과값을 가지고,

in 연산자에 pocket을 받고 pocket 변수 list 안에 있는 값 중에 money가 있는지 찾는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