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new 연산자 다음 vo클래스명 작성하고 그 다음 소괄호, 중괄호 같은 것들이 아직 헷갈리는 중

첫번째 할 때는 그냥 일반 배열에서의 초기화 3가지 방법에 대해 잘 적용하지 못했고 생각도 잘못했는데

2번째 되면서 방법2인 중괄호 방법도 적용 시키는데 성공하고 좀 틀이 잡힌 느낌

숙련도가 올라가는 느낌이 든다

 

/******************************** Object Array practice 2nd ***************************************/	
	
	public void objectArr02() {
		
		// 객체배열
		//
		// 배열 선언 : Stack 영역에 공간 생성(변수의 선언 : stack에 공간 차지)
		// 배열 할당 : heap 영역에 공간 생성
		// 배열 초기화 : 인덱스,중괄호,for문
		// 배열 삭제 : null
		// 배열 값 출력하는 방법 2가지 : for문 + vo클래스 toString메소드
		
		// 배열 선언
		Person[] oArr;
		
		// 배열 선언 & 할당
		Person[] obArr = new Person[3];
		
		// 배열 초기화
		// 	방법1 : index
		obArr[0] = new Person("킴",20,'M',173,69);		// 중괄호가 아닌 소괄호
		obArr[1] = new Person("choi", 22, 'M', 165,45);
		obArr[2] = new Person("yu",32,'M',173.2,72.3);
		
		// 	방법2 : 중괄호
		Person02[] obArrr000 = {new Person02(),
new Person02(),
new Person02()
								};
		
		
		// 	방법3 : for문
		Person02[] obArrr = new Person02[5];
		for(int i=0; i < obArrr.length; i++) {
			obArrr[i] = new Person02("a",1,'M',1,1);
			System.out.println(obArrr[i].personInfo()); // 객체값 출력
		}
		// 이중포문으로 객체 안 숫자 증가시켜보기
		for(int i=0; i < obArrr.length;i+=2) {
			int j=1;
			for(; j < obArrr.length; j++) {
				obArrr[i] = new Person02("a",j,'M',j+10,j+20);
				System.out.println(obArrr[i].personInfo());
			}
		}
		
		// 객체 배열 : 출력
		// 
		for(int i=0; i < obArrr.length; i++) {
			obArrr[i] = new Person02();
			System.out.println(obArrr[i] + " ");		// 주소값 출력
			System.out.println(obArrr[i].personInfo()); // 객체값 출력
		}
		
		System.out.println("====null====");
		System.out.println(Arrays.toString(obArrr)); // [chap06_objectArray.model.vo.Person02@6d06d69c, chap06_objectArray.model.vo.Person02@7852e922, chap06_objectArray.model.vo.Person02@4e25154f, chap06_objectArray.model.vo.Person02@70dea4e, chap06_objectArray.model.vo.Person02@5c647e05]
		System.out.println(obArrr[0].personInfo());  // null, 0,  0.0, 0.0
		obArrr = null;
		System.out.println(Arrays.toString(obArrr)); // null
		
		Person02[] objArr001;
		Person02[] objArr002 = new Person02[5];
		objArr002[0] = new Person02("a", 1,'M',171,66.2);
		objArr002[1] = new Person02();
		objArr002[2] = new Person02();
//		objArr002[2] = new Person02(Person02.getName()); // Person02클래스의 게터에서 값을 끌어올 수 있을까 해서 해봄 
		// 스태틱 요구함 Cannot make a static reference to the non-static method getName() from the type Person02
		Person02[] objArr004 = {new Person02(),
								new Person02("철희", 32, 'M', 171,56),
								new Person02("영희", 32, 'W', 161,46)
								};

		Person02[] objArr003 = new Person02[5];
		for(int i=0; i < objArr003.length; i++) {
			objArr003[i] = new Person02(); 
			System.out.println(objArr003[i].personInfo());
		}
		
	

	}
728x90
반응형
728x90

 

상속(Inheritance)

부모 클래스가 가지고 있는 멤버(필드or메소드)를 자식 클래스에게 넘겨주는 것

자식은 부모를 확장한 것

다른 클래스가 가지고 있는 멤버(필드, 메소드)들을 새로 작성할 클래스에서 직접 만들지 않고 상속을 받음으로써, 새 클래스가 자신의 멤버처럼 사용할 수 있는 기능

 

명령어 : extends

[접근제한자] class 클래스명 extends 클래스명{}

 

 

상속 명칭

부모클래스 = 조상클래스 = 상위클래스(super class)

자식클래스 = 자손클래스 = 하위클래스(sub class)

 

 

상속 목적

1.클래스의 재사용 가능

2.공통적인 규약 정의

 

 

상속 장점

1.코드량 감소

직접 만들지않고 부모클래스를 가져다 쓰기 때문

적은 양의 코드로 클래스 작성 가능

 

2.코드 추가,삭제,변경 용이

부모클래스의 데이터가 공통분모가 되서 일괄변환됨

코드를 공통적으로 관리하기 때문에 코드 추가/변경 용이

 

3.중복 제거 → 생산성,유지보수up

 

 

상속 특징

1.모든 클래스는 Object클래스의 후손(=Object는 최상위 클래스)

    Object클래스가 제공하는 메소드를 오버라이딩하여 메소드 재구현 가능

         ex) java.lang.String 클래스의 equals()와 toString()

부모클래스로부터 멤버(필드,메소드) 받아오는 것

 

2.부모 클래스의 생성자, 초기화 블록은 상속 안됨

자식 클래스 생성 시, 부모 클래스 생성자가 먼저 실행

자식 클래스 생성자 안에 부모 클래스 생성자를 호출하고 싶으면 super() 활용

    - 부모클래스에 접근하는 방법 : super()

 

3.부모의 private멤버는 상속은 되지만 직접 접근 불가

자식 객체 생성 시에 부모의 필드 값도 전달 받은 경우, 자식 생성자 안에서 부모의 private 필드에 직접 접근하여 대입 불가

(private 접근 범위, 해당 클래스 안이기에 직접적으로는 접근 불가)

 

접근 하는 방법

  1. super() 이용하여 전달받은 부모 필드 값을 부모 생성자 쪽으로 넘겨 생성
  2. setter, getter 메소드를 이용하여 접근

 

*부모클래스와 자식클래스의 주소값은 다르다

(=참조하고 있지 않다는 의미. 주소값이 다르기에 )

부모클래스의 객체 주소값은 고정되어있지 않다

자식 클래스라고 해서 부모클래스가 그대로 들어가지 않는다

 

 

자바의 단일상속, 다중 상속

※ 다중 상속

C++에서 사용 가능한 기능

여러 클래스로부터 상속이 가능하며 복합적인 기능을 가진 클래스를 쉽게 생성 가능

    - 서로 다른 클래스로부터 상속받은 멤버 간의 이름이 같은 경우 문제 발생

 

자바에서 다중상속 불가

단일 상속만 가능. 만약 다중상속이 필요하면 단일 상속을 여러번 사용해서 구현 가능

하나의 자식에 여러 부모 불가

하나의 부모에 여러 자식 가능

화살표 : 아래에서 위로

자식이 부모를 가리키는 것

고로, 자식 클래스에서 부모클래스를 화살표가 가리켜야 한다

상속에서 쓰이는 화살표는 머리가 빈 화살표시

 

 

상속 시 딱 하나만 상속 받아오는 것

자바에서는 다중상속하지 않고 단일 상속을 지원함

why?

어느 클래스에서 받아왔는지 알기가 어려워지기 때문 단일 상속만 지원

클래스간의 관계가 다중 상속보다 명확하고 신뢰성 있는 코드 작성가능

 

자바에서 다중상속이 필요한 경우,

단일 상속을 여러번해서 다중상속을 표현할 수 있다

 

 

※ 해당 필드나 getter,setter가 어느 클래스에 속한지 알아볼 때 유용한 팁

대쉬 안에 있는건 어디 안에 있는 메소드인지 보여주는것

 

 

상속의 예시

Object에 있는 메소드들

어떻게 들어가 있을 수 있을까?

모든클래스는 object클래스 후손이기 때문

내가 만든 클래스(사용자 정의 클래스)도 object의 후손이기 때문에 object 안에 있는 클래스들을 다 상속 받은거고 사용할 수 있는 것

.

java.lang.Object

모든 클래스의 부모클래스

최상위 클래스라고 부른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배열에 객체가 들어가다보니 기존 배열보다 좀 까다롭다는 느낌이 들었다

배열 안에 있는 객체 속성값에 접근해서 출력하는게 기존과는 달라서 좀 헤맸다는 것

기존 기본형 자료타입들과 다르게 객체타입이다보니 헷갈리는게 많았다는 것

아직은 숙련도가 많이 부족해서 계속 반복해서 내 손발처럼 될 수 있게 연습해야겠다

 

package chap06_objectArray.controller;

import java.util.Arrays;

import chap06_objectArray.model.vo.Person;

public class Person02Controller {
	
	public void objectArr00() {
		
		// 예제
		// 출처 :http://daplus.net/java-java%EB%A1%9C-%EA%B0%9D%EC%B2%B4-%EB%B0%B0%EC%97%B4-%EB%A7%8C%EB%93%A4%EA%B8%B0/
		
		// 1.선언 및 인스턴스화
		A[ ] arr = new A[4];
		
		// 2.객체 초기화
		// 방법1
		arr[0] = new A();
		arr[1] = new A();
		arr[2] = new A();
		arr[3] = new A();
		
		// 방법2
		for( int i=0; i<4; i++ ) {
			  arr[i] = new A();
		}
		// 방금 만든 객체에서 기존 메소드 호출 가능해짐
		// 방법1
		int x = arr[1].getNumber();
		// 방법2
		arr[1].setNumber(x);
		
	}
	
	public void objectArr01() {
		
		// 객체배열
		//
		// 배열 선언 : Stack 영역에 공간 생성(변수의 선언 : stack에 공간 차지)
		// 배열 할당 : heap 영역에 공간 생성
		// 배열 초기화 : 인덱스,중괄호,for문
		// 배열 삭제 : null
		// 배열 값 출력하는 방법 2가지 : for문 + vo클래스 toString메소드
		
		
		
		
		// 배열 선언 - stack 영역에 생성
		String objArr;
		
		// 배열 할당 - heap 영역에 생성
		Person[] objArr01 = new Person[3];
		
		// 초기화
		//	1)인덱스
		objArr01[0] = new Person();
		objArr01[1] = new Person("김철수", 20, 'M', 170.5, 70);
		objArr01[2] = new Person("이순신", 40,'M', 180.5, 85.5); 

// vo Person		
//		private String name;
//		private int age;
//		private char gender;
//		private double height;
//		private double weight;
		
		// 	2) 중괄호
		Person objArr02 = new Person("안중근", 30,'M', 175.5, 75.3);
		Person[] objArr03 = {new Person("유관순", 18,'F', 160.2, 45.5),
							 new Person("신사임당", 40,'F', 157.5, 43.2),
							 new Person("세종대왕", 55, 'M', 180.5, 80.5)
							};
		System.out.println(objArr02); // chap06_objectArray.model.vo.Person@6d06d69c
		System.out.println(Arrays.toString(objArr03)); // 객체주소값 출력 : [chap06_objectArray.model.vo.Person@6d06d69c, chap06_objectArray.model.vo.Person@7852e922, chap06_objectArray.model.vo.Person@4e25154f]

//		System.out.println(Arrays.toString(objArr02[0])); // The type of the expression must be an array type but it resolved to Person
//		for(int i=0; i < objArr02.length; i++) { // 
//			System.out.println(objArr02[i]);	// The type of the expression must be an array type but it resolved to Person
//		}										// for문 출력은 int나 int로 자동형변환되는 소수들이 가능
		
		
		// 	3) for문
		Person[] objArr04 = new Person[3];
		for(int i=0; i < objArr04.length; i++) {
			objArr04[i] = 
		}
		
		
		// 객체 주소값 출력
		for(int i=0; i < objArr03.length; i++) {
			System.out.println("objArr03 = "+objArr03[i]);
//				objArr03 = chap06_objectArray.model.vo.Person@7852e922
//				objArr03 = chap06_objectArray.model.vo.Person@4e25154f
//				objArr03 = chap06_objectArray.model.vo.Person@70dea4e
		}
		// vo클래스 toString()을 이용한 객체속성값 출력
		for(int i=0; i < objArr03.length; i++) {
			System.out.println(objArr03[i].personInfo());
//				유관순, 18, F, 160.2, 45.5
//				신사임당, 40, F, 157.5, 43.2
//				세종대왕, 55, M, 180.5, 80.5
		}
//		System.out.println(Arrays.toString(objArr03.personInfo())); // Cannot invoke personInfo() on the array type Person[]
//		System.out.println(Arrays.toString(objArr03[0].personInfo())); // The method toString(long[]) in the type Arrays is not applicable for the arguments (String)
//		System.out.println(Arrays.personInfo()); // toString빼고 바로 출력할려했으나 에러 : The method personInfo() is undefined for the type Arrays
		
		// 삭제
		objArr03 = null;
		System.out.println(objArr03); // null
		System.out.println(Arrays.toString(objArr03)); // null
		for(int i=0; i < objArr03.length; i++) {
			System.out.println(objArr03[i].personInfo()); // Exception in thread "main" java.lang.NullPointerException
		}
		
		
	}
	
	
	
}
728x90
반응형
728x90

 

객체 배열

객체를 담는 배열

배열의 자료형을 클래스명(사용자 정의 자료형)으로 지정하여 활용

 

선언

자료형[] 배열명;

자료형 배열명[];

클래스명[] 배열명;

클래스명 배열명[];

 

할당

배열명 = new 자료형[길이];

배열명 = new 클래스명[길이]

자료형[] 배열명 = new 자료형[길이];

클래스명[] 배열명 = new 클래스명[길이];

 

 

 

초기화

배열명[인덱스] = 값;

배열명[인덱스] = new 클래스명();

 

iArr[0] = 10;

tArr[0] new Trainee();

iArr = {1,2,3};

tArr = {new Trainee(),new Trainee()};

 

 

선언과 동시에 할당 및 초기화

클래스명 배열명[] = {new 클래스명(), new 클래스명()};

 

 

객체 배열의 메모리 작동

선언된 변수명이 stack에서 공간이 만들어지고, 거기서 할당되면서 heap에서 공간이 생성되는데

이때,  배열 하나의 주소 안에서 배열의 각 인덱스번호 별로 주소가 다시 나눠지는 구조

 

728x90
반응형
728x90

 

클래스 : 원형

인스턴스 : 복제본

 

원형본인 클래스에서 인스턴스를 만들고 새 변수에 담아두고 이 인스턴스의 메소드를 호출하므로써 이 인스턴스를 조작할 수 있게되는 메커니즘

 

 

 

Print05.delimiter = "----";	
Print05.A();					
Print05.A();	

Print05.delimiter = "====";	
Print05.B();
Print05.B();		

Print05.delimiter = "****";
Print05.A();
Print05.delimiter = "====";
Print05.B();

 

위와 같이 계속 변수의 파라미터를 계속 바꿔서 써야하는 상황이라면?

이럴 때 인스턴스 사용

 

print클래스 안에 있는 메소드들의 static들 삭제

 

 

static 역할

static 뒤에 오는 String(변수(?))이 클래스소속이라는 의미

 - 이렇기에 인스턴스 소속 메소드를 쓰는게 목적이므로 스태틱을 삭제하여 메소드를 클래스 소속에서 인스턴스 소속으로 변경해주는 것

 

인스턴스 사용의 장점

클래스를 재료로 사용할 때 세분화시키고 싶다면 인스턴스로 부분적으로 각각 다른 네이밍과 기능을 지정해 사용할 수 있다

 - 전처럼 중복된 코드를 계속 바꿀 필요 없이, 파라미터 ****가 필요하면 p1 인스턴스를 불러오고 +가 필요하면 p2를 부르면된다

 

 

전체코드

// OOP 5. 인스턴스

class Print05 {
	public String delimiter = ""; 
	public void A() {
		// ... 1억줄 코드
		System.out.println(delimiter); // printA() 메소드 안에  delimiter가 없다면
		System.out.println("A");	   // 이 파일 클래스(메인 메소드 위에)에서 찾아서 사용
		System.out.println("A");	   // 
	}
	public void B() {
		// ... 1억줄 코드
		System.out.println(delimiter);
		System.out.println("B");
		System.out.println("B");
	}
}

public class OOP05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클래스 : 원형본
	// 인스턴스 : 복제본
	//
	// 원형본인 클래스에서 인스턴스를 만들고 새변수에 담아두고 이 인스턴스의 메소드를 호출하므로써
	// 이 인스턴스를 조작할 수 있게되는 메커니즘
	
//		Print05.delimiter = "----";	
//		Print05.A();					
//		Print05.A();	
//	
//		Print05.delimiter = "====";	
//		Print05.B();
//		Print05.B();		
//	
//		Print05.delimiter = "----";
//		Print05.A();
//		Print05.delimiter = "====";
//		Print05.B();
		
		
	// 위와 같이 계속 변수의 파라미터를 계속 바꿔서 써야하는 상황이라면?
	// 이럴 때 인스턴스 사용
	
	// static : statice 뒤에 오는 String(변수(?))이 클래스소속이라는 의미
	// 고로 위에 클래스 안 메소드에서 static 삭제
	Print05 p1 = new Print05();
	p1.delimiter = "****";
	p1.A();
	p1.A();
	p1.B();
	p1.B();

	Print05 p2 = new Print05();
	p2.delimiter = "++++";
	p2.A();
	p2.A();
	p2.B();
	p2.B();
	// 전처럼 중복된 코드를 계속 바꿀 필요 없이,
	// 파라미터 ****가 필요하면 p1 인스턴스를 불러오고 +가 필요하면 p2를 부르면된다

	}
}

 

 

728x90
반응형
728x90

017. 객체지향 언어(OOP, Object-Oriented Programming)란?  - 기본 구성 요소 -

 

 

출처 : 위키백과

 

 

일단 구성요소에 대해 알아보기 전에 객체지향(Object-Oriented)에 대해 한번 알아보자.

 

객체지향이라는 개념이 나타나기 이전의 프로그래밍 방법에서는 사람이 컴퓨터에게 프로그램이 뭘하고 그 다음에 뭘하고 명령을 주는 식으로 컴퓨터가 하는 일을 하나씩 알려주기 바빴다고 한다. 그러나 객체지향 프로그래밍(OOP)이 등장하고부터 프로그램을 작성할 대상이 되는 실제 세계의 사물(객체)을 그대로 표현하고, 그것들이 어떻게 움직이는지 정해주고 나서 그 객체들에게 일을 시킨다고 한다.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을 잘 사용하면 보다 좋은 프로그램을 빨리 만들 수 있고, 나중에 수정하기도 편해진다고 하며, 프로그래밍 언어들이 모두 객체지향적인 것은 아니지만 요즘에 주로 사용되는 것들은 객체지향을 제공하는 것이 많다고 합니다. 객체지향을 개념을 몰라도 간단한 프로그램을 짤 수 있지만, 윈도우나 복잡한 프로그램을 짤 때는 큰 도움이 된다고 한다.
(출처:https://wikidocs.net/84)

 

파이썬은 객체지향적 언어라고 한다. 다만 데이터분석이나 통계 쪽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어

객체 간의 작용하는 프로그래밍보다는 사용자정의 함수들을 많이쓰므로 그리 느껴지지 않을 수 있다고한다.

 


 

이제 '객체지향(Object-Oriented)  언어'가 무엇인지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기본 구성요소를 알아보자

 

객체지향 언어의 3가지 기본 구성요소는 

클래스(class), 객체(object), 메소드(method)이다

 

1.클래스(class)

같은 타입의 그룹에 속하는 속성(attribute)과 동작(behavior)을 정의한 것

 

2.객체(object)

클래스의 인스턴스가 실제로 메모리에 할당된 것
 - 클래스에서 정의된 내용을 실행하며 객체 자체의 속성을 가지고 있다

 

3.메소드(method)

클래스로부터 생성된 객체를 사용하는 방법

 - 객체의 속성을 조작하는데 사용되며, 객체간의 통신은 메세지를 통해 이루어진다.

 

 

*개념 자체들이 한마디로 정의되기 어렵고, 내용이 복잡하고 방대하여 일단 간단하게 다루고

추후에 차차 계속 다뤄보기로 하자. 기초튼튼하게!!

728x90
반응형
728x90

016. 객체란?

 

출처 : 위키백과

 

처음 기초 교재나 수업을 들어보면 객체라는 말을 안들어 볼 수가 없을 수가 없을정도 여러번 나오는 단어인데 정작 이 의미를 정확히 몰라서 해당 내용이 이해가 안되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구글링해보면 객체에 대해서 여러 글들이 존재했지만 그나마 가장 이해가 됬던게 위키여서 자료로 남겨두었다.

 

객체란 아주 심플하게 한마디로 정리하면,

프로그램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또는 식별자에 의해 참조되는 '공간(주소)'이다.

구체적으로 객체는 변수, 자료구조, 함수 또는 메소드가 될 수 있다.

 

객체란?

1)프로그램에서 사용되는 '데이터'이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단위 중 하나

2)식별자(identifier)에 의해 참조되는 '공간' or '주소'

 

위의 설명을 파이썬에서 예를들면, 

a = 1

변수 a를 설정하면 이 a의 값이 직접적으로 메모리 저장되는 것이라 이 a가 있는 주소를 메모리에 저장한다고 한다. 이게 식별자(identifier)에 의해 참조되는 공간이다.

이는 객체지향 프로그램(OOP)과 연관이 있다고 하는데 더가면 너무 복잡하므로 일단 여기까지만 알도록 하자.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